본문 바로가기
고전/법,입법 그리고 자유

제1장 이성과 진화 - 1

by 스클루지 2018. 3. 1.
반응형

법, 입법, 그리고 자유를 읽으며 이해하기가 너무 어려워, 정리해보고자 글을 시작한다.


구성과 진화

인간의 행동 유형을 고찰하는 두 가지 방법

제도는 목적을 위해 의도적으로 고안되어야 함

체계는 제도나 관행이 아닌 성장과 진화 과정에서 기인함

꿈을 실현할 수 있는 무한한 힘을 느끼게 함

이루려는 것에 한계가 있어 어떤 희망은 환상이라는 인식을 갖게 함

인간의 허영을 만족시켜 매우 큰 영향력을 가짐

몇 가지 관점에서 달갑지 않은 결론을 초래하여 대부분 끝까지 따르려 하지 않음

제도가 존재한다는 사실은 특정한 목적을 위해 창조되었다는 증거로, 모든 행위가 특정한 목적에 따라 인도될 수 있도록 사회제도를 재구성 해야 한다고 주장

어떠한 관행이 처음에는 다른 이유 혹은 우연히 채택되었으나, 그 관행을 형성한 집단을 다른 집단보다 우월하게 하였으므로, 관행이 보존된다고 주장

좌측의 견해는 현상에서 나타나는 모든 규칙성을 생각의 결과로 해석하는 원시적인 사고 경향에 뿌리를 두고 있으나

인간이 이러한 개념에서 자신을 해방시켜 나가면서 이 개념은 인간의 사고를 자유롭게 하려는 목적과 밀접한 철학의 

도움으로 재생되었고, 합리주의 시대의 지배적인 개념이 되었다.

우측의 견해는 신인동형동성주의라는 원시적 사고뿐 아니라 좌측의 견해가 합리주의 철학에서 수용한 개념과도 

투쟁해야 했으며, 그러한 도전성으로 인해 진화론적 견해를 명백히 형성할 수 있었다.


데카르트적 합리주의의 주장

데카르트에게 이성이란,

이성: 명확한 전제로부터의 논리적인 추론

이성적 행동: 논증 가능한 진리에 의해 전적으로 결정되는 행동

, 진실된 것만이 성공적인 행동을 이끌어 낼 수 있으며 따라서 인간이 성공원인이라고 생각하는 모든 것이 

이성의 산물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여, 일반적인 전통, 관습, 역사 등을 경멸하는 데카르트적 구성주의의 특징이 되었다

, 인간의 이성만이 사회를 새롭게 건설할 수 있는 능력을 인간에게 부여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합리주의적 접근은 초기 신인동형동성주의적인 형태 사고로의 퇴보를 의미하여, 오늘날까지도 

의식적으로 행해진 모든 것에 우위를 인정하며, ‘비이성적이라는 용어가 가진 경멸적인 의미도 이로부터 유래하였다.

 하지만, 명백한 전제로부터 논리적으로 연역해 낼 수 있는 능력이 인류가 환경의 지배자가 될 수 있었던 이유라는 가정은 

그릇된 가정이며, 정당화될 수 있는 것에만 행동을 한정하는 시도는 인간의 효과적인 성공수단 가운데 상당수를 박탈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인간은 목적을 추구하기도 하지만 규칙을 따르는 동물이기도 하며, 우리는 모든 규칙의 타당성과 

이유를 알고 설명할 수 있어서 성공한 것이 아니라, 그러한 사고와 행동이 여러 세대의 경험 즉 규칙에 의해 지배되었기 

때문에 성공할 수 있었다.


지식의 영원한 한계

구성주의적 접근이 그릇된 것임은 인간의 행동이 원시적 단계뿐만 아니라, 우리가 알지 못하거나 알 수 없는 많은 

사실들로 둘러싸인 문명사회에서도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이 보여준다. 데카르트주의자에게 행동의 완벽한 합리성은 

관련된 모든 사실에 대한 완벽한 지식을 요구하지만, 사회 속에서의 행동의 성공은 누구나 완벽하게 알 수 없는 

특별한 사실에 의존한다.

 독자가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사회의 구성원들은 사람들의 행동을 결정하는 것들에 대해 필연적, 불가항력적으로 

무지하다는 것인데, ‘위대한 사회의 질서를 형성하는 이러한 필연적인 무지는 모든 사회에서 발생되는 문제들의 

근원이 된다따라서 우리의 행동을 규제하는 행동규칙과 제도의 대부분이 사회 질서에서 발생하는 

특수한 사실들을 모두 의식적으로 고려할 수 없기에, 이러한 불가능성에 대한 적응의 결과라고 하는 것이 

저자의 주된 주장 중 하나이다.

 문명사회에서는 많은 수의 미개인보다 무지할 수 있는 개인이 자신이 살고 있는 문명으로부터 많은 이익을 얻어낼 수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구성주의적 합리주의자의 결정적 실수는 특별한 것에 대한 지식으로부터 바람직한 사회질서를 

건설할 수 있다고 하는 가정을 그들 주장의 근거로 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종관적 망상으로 인해 

그들은 때때로 관련된 수많은 현상을 동시에 취급하여 단 한장의 그림에 그 현상들의 특징을 동시에 나타내는 능력을 

꿈꾸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매우 가시적이며 이해하기 쉬워 그러한 계획에 현혹된 종관적 망상자들이 나타난다.

반응형